이앤아이 WithENI  로고

홈으로
ENI Media
SMART News
ENI Media

ENI Media


"20달러로는 못 벌어요" AI 기업들의 고가 요금제 러시

조회 247

2025-08-18 00:00

"20달러로는 못 벌어요" AI 기업들의 고가 요금제 러시
고가 요금제로 매출 급증했지만, 컴퓨팅 비용은 더 빨리 늘어나

안녕하세요. 디지털에이전시 이앤아이입니다.

"챗GPT 플러스 월 20달러도 비싼데, 이제 200달러까지 내야 해요?" 최근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분들 사이에서 자주 들리는 말이에요.
실제로 AI 기업들이 고가 요금제를 잇따라 출시하면서 'AI가 비싸진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거든요.

그런데 오픈AI가 드디어 성과를 보고 있어요.
지난 21일 사라 프라이어 오픈AI CFO가 "7월 매출이 처음 10억달러를 넘었다"고 발표했거든요. 2022년 챗GPT 출시 후 2년 8개월 만의 기록이에요.

이 수치가 얼마나 놀라운지 보면, 2022년 말 오픈AI가 투자자들에게 제시했던 "2024년 연간 매출 목표"가 바로 10억달러였어요. 연간 목표로 잡았던 금액을 이제는 한 달 만에 달성하고 있는 거죠.

오픈AI뿐만 아니라 AI 업계 전반에서 요금 인상 경쟁이 치열해요.
일론 머스크의 xAI는 월 300달러짜리 '수퍼그록 헤비' 요금제를 내놨고, 앤트로픽도 월 200달러짜리 '클로드 맥스'를 출시했어요. 구글도 249달러짜리 'AI 울트라 요금제'를 선보였죠.

20250823_20달러로는-못-벌어요-AI-기업들의-고가-요금제-러시_제미나이_1

이런 고가 요금제가 나오는 이유는 간단해요. 기존 월 20달러 요금제로는 수익이 나지 않기 때문이거든요.
AI 서비스를 운영하려면 엔비디아 H100 같은 고가의 AI 가속기가 필요한데, 한 장에 4~5천만원이 넘어요. xAI의 그록4만 해도 H100을 20만 장 투입해 구축했다고 하니, 이 비용만 10조원이 넘는 셈이죠.

실제로 오픈AI도 매출은 급증했지만 여전히 적자 상태예요. 올해 영업손실 전망치를 80억달러로 상향 조정했거든요.
프라이어 CFO는 "컴퓨팅 자원이 부족하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로 더 큰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어요.

업계에서는 앞으로 AI 서비스 구독료가 더 오를 것으로 보고 있어요. 오픈AI는 월 최대 2천달러 요금제도 검토 중이고, 앤트로픽도 500달러 이상 고가 요금제를 준비하고 있다고 해요.

흥미로운 건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최근 "AI 시장이 버블 상태"라고 인정한 점이에요. "투자자들이 AI에 과도하게 흥분한 상태"라며 닷컴 버블과 비슷한 현상이 반복될 수 있다고 경고했거든요.

AI 기술의 발전은 분명 놀랍지만, 그만큼 비용도 급증하고 있어요.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 나은 AI 서비스를 위해 높은 비용을 지불할 준비가 되어있는지 고민해봐야 할 시점인 것 같네요.

이앤아이와 함께 더 나은 웹 환경을 만들어 나가요!

#오픈AI월매출10억달러 #AI고가요금제경쟁 #챗GPT매출급증 #AI컴퓨팅비용 #xAI수퍼그록 #앤트로픽클로드맥스 #AI서비스비용상승 #스타게이트프로젝트 #샘알트만AI버블 #AI적자딜레마 #이앤아이 #디지털에이전시 #대학교홈페이지 #병원홈페이지 #AI전문기업